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오늘은 정치부 최선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풍년인데 이재명 후보는 고개를 숙이고 있네요?<br><br>사과 풍년입니다. <br> <br>오늘 하루 정치권 곳곳에서 사과가 쏟아졌는데요. <br> <br>앞서 리포트에서 보셨지만, 대통령은 방역 조치로, 여야 대선 주자는 가족 문제 탓에 고개를 숙였죠. <br><br>Q. 리더들이 모두 고개를 숙이는 모습을 보는 국민 마음도 씁쓸합니다.<br><br>그런데 상대 후보 사과에는 박한 평가를 내리면서 사과 2차전이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먼저 윤석열 후보의 부인 김건희 씨의 사과에 대한 민주당 반응부터 보시죠.<br> <br>[윤건영 /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정무실장 (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<br>아직 제대로 된 사과와 반성이 없었습니다. 지난 번에 있었던 개 사과 버전 2와 같이 억지로 사과를 하는듯한 모습이었습니다.<br> <br>[유인태 / 전 국회 사무총장 (CBS 라디오 ‘김현정의 뉴스쇼’)]<br>저는 업보라고 봐요. 조국 장관 가족은 표창장 위조했다 그래서 탈탈 털어놨는데 자기 문제에 관해서는 그야말로 내로남불… <br><br>Q. 이재명 후보는 경선 때는 검증을 후보자 본인 문제로 제한해야 한다고 말한 적도 있잖아요.<br><br><br><br>네, 하지만, 오늘은 "결혼 전 사생활이 아닌 범죄 혐의는 또 다르다"며 비판에 가세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도 아들의 상습 도박을 사과한 이재명 후보를 몰아세웠습니다.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]<br>(Q. 이재명 아들 도박 관련 사과문 발표에 대한 생각은?) 사건의 실체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는 모양이죠.<br> <br>[김재원 / 국민의힘 최고위원 (KBS 라디오 '최경영의 최강시사')]<br>김건희 씨의 부주의한 이력서 기재와는 차원이 다른 현재 진행되고 있던 범죄행위거든요.<br><br> <br><br>'중범죄를 치료 대상 정도로 치부했다', '야당 의원 사과는 조롱해온 민주당이 이재명 후보 사과를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'는 비판도 나왔습니다.<br> <br>후보들 사과 풍년도 반갑지 않은데, 남의 사과에만 엄격한 여야 모습도 볼썽사납습니다.<br><br> 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헷갈리네' 무슨 내용일까요. <br><br>앞서 가족 문제로 동병상련을 겪고 있는 두 후보, 정작 정책은 점점 비슷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한 후보가 앞서가면, 다른 후보가 따라가는 분위기인데요. <br> <br>이재명 후보가 앞서가고, 윤석열 후보가 따라간 정책부터 보실까요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(지난달 24일)] <br>"공공부문 노동이사제? 그건 이제 이번에 책임처리하는 걸로 하고" <br> <br>[윤후덕 / 민주당 선대위 정책본부장(지난달 24일)] <br>"(야당과) 협의 처리하기가 어렵습니다."<br> <br>[김병민 / 국민의힘 선대위 대변인 (어제)] <br>"긍정적인 찬성 입장을 피력해서 한국노총에 계셨던 많은 분들께서 큰 박수로 화답해주셨습니다." <br><br>Q. 재계가 불안해하니, 윤 후보, 오늘은 성장이 무조건 중요하다며 또 재계를 달랬더군요.<br> <br>두 후보 모두 성장을 외치고 있죠. <br> <br>코로나 피해 손실보상은 윤석열 후보가 앞서고, 이 후보가 뒤에 섰습니다. <br>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](지난달 9일) <br>"40조가 조금 더 들어가요. 이건 헌법상으로도 보상하는 게 맞는 겁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(지난 12일) <br>"윤석열 후보,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이 100조 원 지원하겠다는데 당선된 다음에 한다는 소리 말고 지금 당장하는 게 좋겠죠"<br> <br>이 뿐만이 아닙니다. 더 보여드리겠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(지난 10일) <br>"그냥 밀어붙이는 건 벽창호라고 할 수 있겠죠." 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](지난달 29일) <br>"탈원전이라고 하는 것은 망하러 가자는 얘기입니다." <br><br>Q. 사실 두 후보 모두 비호감도가 높아서, 정책을 보고 뽑아야 하는데, 이건 또 비슷하군요.<br> <br>오죽하면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, "두 후보 노선이 완벽히 일치하고 있다"면서 차라리 단일화하라는 조롱도 했죠. <br> <br>지지층 결집이 먼저였던 경선과 달리, 본선에서는 중도 외연 확장을 시도하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 걸텐데요.<br><br> <br> <br>가족 논란이 아니라 차별화된 자신만의 정책으로 이목을 끌었으면 좋겠습니다. (이목끌기) <br><br>Q. 어쨌든 선택을 해야 하는데, 난감한 유권자들 많을 것 같습니다. 여랑야랑 이었습니다. <br><br>